주식시장의 주식하락과 주가폭락 이유에 대해 무엇때문인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알아보자.
1. 금리의 변동으로 인한 주가폭락
- 한국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금리변동의 추세를 볼 수 있습니다. 20년 5월 부터 적용된 기준금리 0.5%는 금일 한국은행에서 동결로 정했기에 21년 마찬가지로 0.5%수준의 동결금리가 진행 될 예정입니다.
-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하락합니다. 왜 그럴까요? 이유는 간단합니다. 금리가 오르면 저축금리도 오르기때문에 사람들은 안전자산에 투자하고싶어하는거죠 굳이 주식의 위험에 투자하지 않아도 저축하면 가만히 있어도 이자를 주기 때문입니다.
2. 주식관심도 하락 부동산관심도 상승에 따른 주가폭락
- 두번째 주가폭락사유는 바로 관심도의 이전 입니다. 20년도 코로나사태로 인해 사람들이 나가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며 그 관심을 자산의 증식으로 쏠립니다. 부동산과 주식시장 모두가 상승하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게 되죠. 보통 평균적으로 부동산시장이 오를때 주식시장은 하락하고 주식시장이 오를 때 부동산시장은 하락하는 기조를 보이게 됩니다. 부동산은 안전자산, 주식은 위험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이죠. 최근에는 모두가 위험자산 같아 보이긴 합니다.
3. 미국 나스닥, 다우지수 하락에 따른 주가폭락
- 미국경제는 세계 어느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. 특히 주식시장에서는 더더욱 크게 느껴지요. 주식하락과 주가폭락의 대표적인 사례에는 미국증시의 하락이 손꼽힙니다.
- 상기 5년치 나스닥지수를 보게되면 코로나 초기시점 경제대공황수준으로 주가가하락했습니다. 그 다음날 대한민국 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요? 세상이 무너지는 만큼 주가폭락이 도래되었습니다. 조용한 전쟁터인 컴퓨터화면을 보며 주식을 하지 않는이들은 하하호호 떠드는 와중에 저 혼자 사무실에서 우울했던 기억이 있습니다. 그만큼 미국 주식시장의 주가하락은 대한민국 주식시장에 큰 여파로써 작용하게 됩니다.
4. 시장 조정장 지속으로 인한 주식하락
- 마지막은 시장자체의 조정으로 인한 박스권시장에 갇힌 주가폭락 입니다. 대한민국 주식시장은 오랫동안 박스권에 갇혀 코스피 2,000회복이란 타이틀을 기점으로 매 년 똑같았습니다. 위의 사진과 같이 긴세월을 박스피안에 갇혀 매매하던 트레이더들은 지금 몇명 남지 않았습니다.
- 2021년 올해 드디어 코스피가 3,000을 돌파하는 경이로움을 겪고, 나스닥이 천스닥이라 불리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. 조정이 언제 찾아올지 모르지만 현재의 기세는 코스피 4,000도 전혀 불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 듯 합니다.
#주가폭락 주가하락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. 여러 원인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4가지를 통해 조금더 리스크에 대한 생각을 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